자연의 축복, 꿀
link  김미선   2021-03-31


꿀은 자연의 축복이다.
오느 책에서 본 이야기다.
가난한 마을의 한 농가에 괴사나이가 나타났는데 돌 하나를 내놓으며 밥을 지어 달란다.

먹을 밥도 모자란 터라 거절하려 했지만 그 돌에서는 아주 좋은 향기가 났다.
분명 희귀한 돌이라 생각한 주인은 밥 한끼를 해주고는 부리나케 상인에게 달려간다.
처음에 상인은 열냥을 주겠다고 한다. 두냥 정도면 감지덕지라고 생각한 농부는 얼씨구나 좋다고 속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마침 함께 간 사람이 튕긴답시고 열 냥엔 못 주겠다고 뻗대었다.
그러자 당황한 상인은 얼떨결에 그 돌은 천밀석이라고 하는데 열 냥도 후하게 쳐준것이라며 설득하려 했다.
시골 농부라 무식하려니 했지만, 주인도 함께 간 사람도 천밀석이 얼마나 귀한 물건인지는 잘 알고 있었다.
자연 협상은 유리하게 되어 농부는 그 열배도 넘는 돈을 받아내고야 만다.

그렇다면 향기나는 돌, 천밀석은 무엇인가?
천밀석은 바위에 붙은지 아주 오래되어 돌처럼 단단하게 굳은 꿀이 든 벌집이라고 한다.
바위에 붙어있는 법집은 드문데, 이것을 석밀이라고 ㅎ하여 귀한 꿀로 여긴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선가 벌이 떠나고 (이사, 혹은 몰사) 난 후 5년 정도가 지나면 굳어서 돌과 같이 된다.
이 때만 해도 이 벌집에서는 향기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오랫동안 자연의 공기와 함께 호흡을 하면서 50년이 지나면 미미한 향기가 나기 시작하고 , 100여년이 지나면
아주 진한 향기가 나는 돌이 되는데 이것이 바로 천밀석이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이 천밀석을 하늘이 내려준 선물로 여겨 한나라의 의성 '태정'은 '득효집성방'이라는 책에서
천밀석이 음과 양의 치우친 부분을 보완해주고 북돋워주오 균형을 유지하게 해주며,
십 년 이상 가루로 만들어 차에 타 마시먄 흰머리가 검은 머리로 돌아오는 영약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연관 키워드
국화쿠키, 당근, 오미자, 고질병, 개구리밥, 산나물, 감국, 장미, 포도나무, 간암, 참가시나무, 겨우살이, 아까시나무, 음양곽, 새치, 간경화, 건망증, 부스럼, 질경이, 감잎차
Made By 호가계부